OS 입원은 os 확인 후 입원고려
head shaving & marker 부착은 NS Intern이 한다. 이후 marking Brain CT 촬영 후 시술
ERCP 진정기록지 작성
Patella : 무릎뼈, 슬개골
hepatic hemangiomus : 간 혈관종
cholangitis : 담관염
pneumothorax : 기흉
Quadriplegia : 사지마비
Atelectasis : 무기폐
어떤 원인으로 기관지가 폐색되어 말초부의 폐조직에 기관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정지됨으로써 허파꽈리(폐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폐의 공기의 양이 적거나 매우 결핍된 이상 상태. 폐확장부전(肺擴張不全)으로 기침 ·흉통 ·빈맥(頻脈) ·호흡곤란 등의 증세와 심할 경우에는 쇼크를 일으켜 위험하다
SMA syndrome : 상간장막 동맥증후군
EUS 의학용어 : endoscopic ultrasound 내시경 초음파
---
구획증후군 5p sign
* 구획증후군? 근막에 둘러싸인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 압이 높아져서 모세혈관에서의 관류가 저하되어, 그 구획 내의 근육과 신경 등 연부조직이 괴사 되면서 나타나는 임상증상을 통칭하는 용어
급성? 흔한원인은 골절
만성? 하퇴의 전방 혹은 후방 심부 구획에서 운동을 한 후에 구획 압이 증가하여 통증 등의 구획증후군 증세들이 비교적 경하게 나타나는 것.
- pain 극심한 동통 ( 임박형 )
- paresthesia 감각이상
- palor 창백
- paralysis 마비
- pulselessness 무맥
치료? 구획증후군의 치료는 응급을 요하며, 상승된 구획 내 압력을 낮추어 주어야 한다.
우선 석고붕대를 제거해야 하고 ( 이것만으로 구획 압을 50~85% 가량 낮출 수 있다고 알려짐 )
그 후 바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즉각적으로 근막 절개술 실시
근막 절개술은 적어도 증상 발생 시로부터 25~ 30 시간 내에 시행하여야 좋은 예후 기대할 수 있으며,
3~4일이 경과한 뒤에 수술을 실시한다 하더라도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괴사 된 근육이 녹아내리면서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며,
구획증후군에 대한 치료가 늦어질 경우 볼크만 허혈성 구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치료가 관건.
* 볼크만 허혈성 구축?
치료하지 않은 급성 구획증후군 혹은 동맥의 손상에 의한 허혈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지의 변형 ( 근육 및 힘줄의 수축에 의해 사지의 운동이 제한된 상태)을 의미하는데, 그 증상으로 굴곡 근육의 구축과 신경의 마비가 있다.
facial palsy + otalgia 귀앓이→ Ramsay hunt syndrome
: 슬신경절의 herpes zoster virus 감염에 의해 안면마비와 이통, 외이도의 수포성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
HCC : hepatocellular carcinoma
* Wernicke encephalopathy ( WE ) = beriberi
티아민은 체내에서 thiamine pyrophosphate로 활성화되어 Pyruvate 를 acetyl co-A로 전환시켜 뇌의 당대사인 Kreb's cycle에 관여하는데, 베르니케 뇌병증은 티아민(Vit B1) 결핍으로 인해 thiamine pyrophosphate가 감소되어 뇌의 당 대사에 이상이 생겨, 신경 연접부로의 신경 전달 자극이 감소하면서 DNA 합성이 손상되어 발생된다고 한다.
원인?
만성 알콜중독 ( intestine 에서 thiamine 흡수↓, 간에서 thiamine 저장↓ )
만성 영양 부족
임신 오조 ( 반복적 구토 ) , 장기 정맥 영양 보충 시의 부적절한 영양보충, 악성 신생물, 위장관계 절제 수술 ( 비만 수술 포함), 장기이식, 혈액 또는 복막 투석,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3대 증상?
- 의식저하
- gait ataxia 보행 운동실조
- ophthalmoplegia ( 안구운동 장애로 nystagmus 포함 )
* Vitamin B1 ( Thiamine )
- Mg 결핍 → thiamine 결핍
↘ Mg이 thiamine 을 thiamin pyrophosphate ( TTP, 티아민피로인산염 ) 으로 전환하는데 필수 전해질
- 이뇨제 투여 → Thiamine 배설 ↑
출처 : Wernicke Encephalopathy(W..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Psoas 허리근 abscess
radiating pain : 방사통
CSDH 의학용어 : chronicsubdural hemorrhage 만성 경막하 출혈
Lt. trephination 두개골천공술→ DAPT 사용 : Dual antiplatelet Therapy 이중 항혈소판 요법
dyslipidemia :이상지질혈증 - 혈중에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된 상태거나 HDL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
vascular dementia : 혈관성 치매 - 뇌혈관 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치매를 총칭
dominant : 우세한, 지배적인, 우성의
decrease BS ( blood sugar / breast sound )on RLF.
EV : Esophageal varix 식도정맥류
GV : Genu varum deformity 내반슬
spontaneous,, 자발적인, 자연스러운
cirrhosis related RN,DN
odorous 냄새가 나는 urine
Kallmann's syndrome 칼만증후군 : 희귀한 유전적 질환으로, 사춘기에 2차성징과 같은 성적 발달이 나타나지 않으며 동시에 후각 기능이 소실되는 저생식샘자극호르몬 생식샘저하증(Hypogonadotropic hypogonadism)의 한 유형
Unico Standard Percutaneous Kit - U/S guided therapeutic thoracentesis GI dr. P+
---
astrix 혈소판 응집억제제, brilinta 혈소판 응집억제제, vivacor 고지혈증 치료제, 동맥경화용제
HEP: hepatitis
Monoparesis : 단일불완전마비 = 홑팔다리 편마비
osteogenesis imperfecta : 골형성 부전증
meningoencephalitis : 뇌수막염
encephalitis : 뇌염
meningo : 뇌척수막
adenocarcinoma : 선암, 샘암종
선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 이 형의 암은 위 ·장 ·기관지 ·자궁(체부) ·담낭 등의 점막을 비롯하여, 전립선 ·고환 ·난소 ·갑상선 ·이자의 선 조직이나 배설관에서 발생한다
prostatic Ca. 전립샘의 Ca.
pneumothorax : 기흉
cholangitis : 담관염
CFS polypectomy
ACS acute coronary syndrome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 안정/불안정 협심증, STEMI, NSTEMI 포함
PPM permanent pacemaker : 심박동 조율기
permanent 영구적인
bicytopenia → PB smear 말초혈액 도말검사 : 말초혈액을 채혈하여 직접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검사
출처 : [혈액] 혈액질환 정리표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Bicytopenia: decrease in two of three cell lines, May suggest pancytopenia in development
CAG전 med 복용여부 !
IDA 의학용어 : iron deficiency anemia 철결핍성 빈혈
AA 의학용어 : aplastic anemia 재생 불량성 빈혈
ACD 의학용어 : anemia of chronic disease 만성질환 빈혈
MDS 의학용어 : myelodysplastic stndrome 골수 이형성 증후군
AML 의학용어 : acute myelogenous leukemia 급성 골수성 백혈병
CML 의학용어 :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만성 골수성 백혈병
PMF 의학용어 : primary myelofibrosis 특발성 골수섬유증
ITP 의학용어 : immune thrombocytopenia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TTP 의학용어 :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혈전성 혈소판 감소 자색반
DIC 의학용어 :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파종 혈관내 응고
파종성 혈관내 응고는 혈류 전체에서 작은 피떡이 발생하여 소혈관이 막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증가된 피떡 생성으로 출혈을 조절하는 데 필요한 혈소판과 응고 인자가 극소로 감소되어 과다 출혈이 발생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