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atel's firstaid

36

by 꿀오소리 2022. 12. 12.
728x90
반응형

HEP 의학용어 : hepatitis 간염

Vanco AST X,,

myoclonus 근육간대경련 : 돌발적이며 짧고 전기충격과 같은 형태의 순간적인 근육수축 또는 근긴장도가 저하되는 현상

 

anticoagulation 항응고요법

심장판막증이나 심실세동이 있는 환자의 심장 내에서 혈액 응고되는 것을 막아주고, 다른 부위에서 색전증이 일어나는 것을 막음으로써 뇌경색을 예방한다. 헤파린과 쿠마딘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 가운데 헤파린은 트롬빈이라는 단백질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액이 굳지 않게 한다. 

혈관에 투여하므로 효과가 빨라 뇌경색 발생 직후부터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출혈이나 상처가 심한 경우, 장암·위궤양·중증 고혈압·비타민K 결핍증 환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피부염 두드러기, 탈모, 발열, 위장장애, 백혈구 감소 등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비해 쿠마딘은 와파린(warfarin)으로도 불리는데, 비타민K를 억제하여 혈액 응고인자를 만들지 못하게 한다. 출혈이나 소화성 궤양, 절박유산, 혈액응고의 검사 결과 응고 간격이 적당하지 않은 환자는 피해야 한다. 알레르기 반응과 혈소판 감소, 비강 출혈, 백반, 원형탈모증의 부작용이 있고, 장기투여시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임산부의 경우에는 쿠마딘이 위험하므로 헤파린을 써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항응고요법 [anticoagulation, 抗凝固療法]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cholangitis 담관염

cholecystitis 담낭염

Monoparesis 단불완전마비

osteogenesis 골형성

bacterial meningoencephalitis : 박테리아성 수뇌막염

 

LNT 12/5 8PM

FAT 12/6 1AM

LNT 의학용어 : Last normal time 마지막을 정상적이었던 시간

FAT 의학용어 : First fount Abnormal time : 처음으로 환자 비정상적 상태 발견된 시각

 

---

 

UAP 의학용어 : unstable angina pectoris 불안정성 협심증 → CAG

AS 의학용어 : aortic stenosis 대동맥 협착

MS 의학용어 : mitral valve stenosis 승모판 협착

CAD 의학용어 : coronary artery disease 관상동맥 질환

PAF 의학용어 :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발작성 심방세동

 

Crohn's disease → ileostomy

소화관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병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다.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장의 모든 층을 침범

병적인 변화가 분포하는 양상이 연속적이지 않고 드문드문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인 회맹부에 질환이 발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흔히 발생

 

SCLC 의학용어 : Small cell lung cancer 소세포폐암

SIADH 의학용어 : Syndrome of inappropriate secretion of ADH 항이뇨호르몬부적합분비 증후군

 

Rt. hemicolectomy : 대장반절제술

대장을 좌우로 나눌 때, 좌우 반쪽의 대장 부분만 제거하는 수술. 우측 대장 반절제술은 맹장, 오름결장, 가로결장의 몸쪽부에 암이 있을 때 주로 시행하며, 좌측 대장 반절제술은 먼쪽 가로결장, 내림결장에 암이 있을 경우에 주로 시행

 

Bell's palsy 벨마비

안면신경의 손상 또는 이상으로 초래된 안면근육의 위약 또는 마비

안면신경마비중 반수이상은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이것을 일반적으로 벨 마비라고 한다.

 

SMA syndrome 의학용어 :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상장간막 동맥 증후군

1. 상부 장간막 동맥 ( SMA)과 대동맥 ( Aorta )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십이지장의 세 번째 부분이 압박되는것이 특징

2. M/C 중간 장간막 지방패드 ( mesenteric fat pad ) 의 손실 원인

 

3. 원인

1) 빠른 체중감소 or 대사상태 변화 → 장간막과 후복강의 지방조직의 감소를 초래

2) 외부 혹은 복강 내 압박 : 종양 or 복부대동맥류 등 십이지장 압박 → 폐색 증상

3) 장간막 장력 증가 : 소장 장간막이 아래로 잡아당겨질 때 대동맥-장간막동맥 각도가 줄어듦. 척추측만증 수술 이후 등

 

4. 증상

1) 주된 임상증상 : 간헐적 악화 동반하는 상복부 통증

2) 그외 오심, 구토, 식욕부진, 식후 복부 불편감, 담즙성 구토, 체중 감소호소

 

5. 진단

1) 임상적 특징 + 대동맥과 상부 장간막 동맥 사이의 비정상적인 각도

2) Abdomen CT 진단 영상 기준

6. 치료

* 우선 보존 치료로 시작하고 증상 조절 실패한 경우 수술 치료를 고려

1) 보존적 치료

- 위장관 감압 : 비위관 삽입

- 전해질 이상 교정 : 수액 및 전해질 보충

- 영양 지원

2) 수술적 치료

Strong's procedure gastrojejunostomy duodenojenunostomy

출처 SMA syndrome(Superior mes..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IPF with AE

aneurysm : 동맥류

clinical correlation : 임상적 연관성

 

* grave's disease 갑상선 항진증의 대표적 질환

Graves병은 갑상샘 자극작용을 갖는 갑상샘 자가항체에 의한 일종의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갑상샘 자극물질은 갑상샘을 자극하여 갑상샘호르몬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물질이며, 주로 IgG로 생성된 것이다. 그러면 이 IgG는 어떻게 갑상샘을 자극하는 것일까? 그것은 TSH수용체에 결합해서 TSH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Graves병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9 : 내분비, 2013. 5. 10.)

 

- mild bloody? secretion,, blood tinged,, sputum

- whitish light sputum

 

hydropneumothorax : 수기흉증 - pleural space에 비정상적 fluid와 air가 함께 있는 것.

myoclonus : 간대성 근경련

 

B-cell lymphoma : 비세포림프종

면역세포의 일종인 비(B)세포에서 발생하는 림프종. 버킷 림프종, 만성 림프구 백혈병/소림프구 림프종, 확산 거대 B세포 림프종, 소포 림프종, 외투 림프종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 비호지킨 림프종에 속한다. 예후와 치료는 암의 유형과 병기에 따라 다르다.

 

 

728x90
반응형

'Ratel's firsta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38  (0) 2022.12.29
37  (0) 2022.12.22
35  (1) 2022.12.05
34  (1) 2022.11.29
33  (0) 2022.11.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