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N 의학용어 : Atrioventricular node 방실결절
insomnia : 불면증
Eisenmenger syndrome c large ASD : 아이젠멩거증후군
아이젠멘거 증후군은 선천성 심장 기형으로 생기는 좌-우 단락을 통해 폐혈관으로 흐르는 혈류량이 증가하여 폐고혈압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다시 우-좌 단락을 형성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드문 진행성 심장질환으로 태어날 때부터 심장에 구조적 이상을 가지고 태어나게 됩니다. 이 질환은 심장과 폐를 연결하는 주요 혈관(폐혈관)의 혈압이 상승하며, 심장 내에서 부적절한 혈류의 흐름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
아이젠멘거 증후군의 완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증상에 따른 대증적인 요법을 시행할 수 있으며 최근 심장-폐 이식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약물로는 디지탈리스(digitalis), 이뇨제, 항 부정맥제, 항 혈전제 등이 있으나 어느 것도 생존율을 높이지는 못합니다
ASD 의학용어 : Atrial Septal Defect 심방 중격 결손
[네이버 지식백과] 아이젠멘거증후군 [Eisenmenger's syndrome] (희귀질환정보)
RUL : right upper lobe 우상엽
RML : right middle lobe 우중외측엽
RLL : right lower lobe 우하엽
LUL : left upper lobe 좌상엽
LLL : left lower lobe 좌하엽
phantom tumor : 환상종양, 거짓종양 : 거짓종양은 종양을 닮았지만 그 기원은 염증이다.
s/p POBA : plain old Balloon Angioplasty : 단순풍선확장술 (PCI 中)
neurogenic : 신경성의
TKR 의학용어 : Total Knee Replacement 인공슬관절치환술
---
Paralytic : 마비된
UAP 의학용어 : unstable angina pectoris 불안정 협심증
URI Symtom :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상기도 감염
ARB : angiotensin 2 receptor blocker : 혈압강하제
---
Lt. CSDH 의학용어 : chronic subdural hemorrhage 만성 경막하출혈
w/u leukemia - cognitive 인지 disfunction
* 길랭-바레 증후군(Guillian-Barre syndrome)은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 신경병증(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AIDP)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질환은 신경에서 염증(다발신경염)이 발생하고 근육이 약해지며 종종 프랭크 마비(frank paralysis)로 진행됩니다.
발병 후 증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매우 희귀한 질환입니다. 세계 어느 지역에서든 계절에 관계없이 발병합니다. 모든 연령에서 남녀 구별 없이 급성으로 발병하며, 매년 100,000명 중 한 명의 비율로 발생합니다.
발병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환자들의 경우, 길랭-바레 증후군이 나타나기 1-3주 전에 감기를 포함한호흡기 질환 또는 가벼운 위장 질환이 선행되어 나타납니다. 또한 예방 접종, 외상 혹은 수술 이 후에 발병하기도 합니다.
길랭-바레 증후군(Guillian-Barre syndrome)은 드물지만 빠르게 진행되며, 말초 신경 중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운동 신경에 염증성 병변이 생기게 됩니다.
특징적인 증상은 상행성(上行性) 마비(위로 올라가는 마비)입니다. 마비는 주로 하지에서 시작하여 몸통과 팔로 올라오며 숨 쉬는 데 필요한호흡근과 얼굴에 영향을 줍니다. 길랭-바레 증후군 환자의 40% 이상에서는호흡근이 매우 약해져 일시적으로 기계호흡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비는 주로 감각 이상과 함께 동반되어 나타나는데 ‘무감각, 저림, 찌르는 것 같은 느낌, 피부 밑으로 벌레가 기어 다니는 듯 한 느낌, 통증’과 같은 이상 감각이 함께 나타나게 됩니다.
감각신경의 손상은 팔다리와 피부로부터 뇌로 진행됩니다. 근육이 약해지는 현상과 마찬가지로 손에서 시작할 수 있고, 잇몸과 얼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비정상적인 감각 또한 점차 위쪽으로 진행합니다.
증상은 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팔과 다리가 전형적으로 초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진단 : 뇌척수액 검사, 신경전도 검사, 근전도, 혈청학적 검사
치료 : 길랭-바레 증후군은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완치를 위한 치료법도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증상의 완화가 치료의 목표,, 보통 면역글로불린 주입으로 신경세포 파괴 줄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길랭-바레증후군 [Guillain-Barre syndrome] (희귀질환정보)
* Lenoxgastaut syndrome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 LGS)은 소아기에 발생하는 뇌전증 중 가장 심한 형태의 뇌전증으로서 보통 만 1세에서 8세까지 발병합니다. 여러 형태의 경련과, 발달부전, 충동조절 장애 등의 행동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소아기의 뇌전증성 뇌병증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뇌파에서는 특징적 1.5~2.5Hz의 극서파 복합의 뇌전증파를 보이며 영아연축에서 진행된 경우도 흔히 관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의 주된 증상은 뇌전증발작입니다. 이 증후군에서의 발작은 여러 종류의 뇌전증발작이 혼합되어 일어나는 데 한 환아에서 모든 형태의 발작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발작 유형은 강직발작(tonic seizure), 무긴장발작(atonic seizure), 비정형 소발작(atypical absence seizure)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레녹스-가스토증후군 [Lennox-Gastaut syndrome] (희귀질환정보)
고) Vecaron 4mg/vial + N/S 20ml
수술, 마취시 또는 기관내 삽관시 근이완제
---
HbA1C 확인하여 당 조절해왔는지 확인가능
Hypothyroidsm 의 경우 NPO 중에도 Synthyroid PO 적용. +Synacthen
Cortisol 낮을 때,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자극에의한 부신 코르티솔
Thyroid storm → 부정맥으로 CV 진료도 본다
TSH 항진, Free T4, Antiroid?, PTC : papillary thyroid carcinoma 갑상선 유두상암
---
RFCA 의학용어 :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라디오 주파수 에너지를 이용한 전극도자 절세술
동의서+, 심도자실
심장내 위치한 전극도자를 통하여 프로그램된 여러 가지 형태의 전기자극을 주어서 빈맥을 유발 및 종료시켜 그 발생기전을 확인한 후 빈맥이 유발되면 전극도자를 이용한 지도화(mapping)과정을 통하여 정확한 빈맥 발생 부위를 찾는다. 정확한 위치를 찾게 되면 이 부위에 절제용 전극도자(ablation catheter)를 위치시킨다.
그 후에 외부로부터 radiofrequency 형태의 교류전류를 전극도자와 접촉한 심내막 부정맥 발생 부위에 주면 전류가 이 부위 에서는 열로 변하여 이 부위 조직의 온도가 상승하여 조직 손상이 초래되어 성공적으로 빈맥을 치료하게 된다.
nodularity : 소결절형성
--
Dx. 진단
DDx : differential diagnosis 감별진단
CCB : calcium-channel blocker : 고혈압, 협심증 치료제
P/E : physical examination : 문진+신체검진
Px : prognosis 예후
Hx : history,, 병력
Pt : patient 환자
S/Cx : sputum culture 객담배양검사
G/A : general anethesia 전신마취
S/A : spinal anesthesia 척추마취
L/A : local anesthesia 부분마취
diverticulitis : 게실염
blister : 수포
hemorrhoid : 치질
hemolysis : 용혈
sterile : 멸균
ALD : Alcolic liver disease 알콜성 간 질환
ARD : acute respiratory disease 급성 호흡기 질환
AGC : Acute gastric cancer : 진행성 위암
CAOD :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관상동맥 협착질환
cholecystitis : 담낭염
cholangitis : 담도염
CCC : Cholangiocarcinoma 담관암
CPAP : contio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지속적 양압호흡
cbr infarction :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DU : Duodenal ulcer 십이지장 궤양
EV : esophageal varix 식도정맥류
PMC : pseudomembraneous colitis 위막성장염
enteritis / colitis : 장염 / 대장염
IBS : irritable bowel syndrome 과민성 대장증후군
ICH :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
SAH : Subarachnoid hemorrhage 거미(지주)막하출혈
SDH : Subdural hemorrhage 경막하출혈
EDH : epidural hemorrhage 경막외출혈
HNP : Herniated nucleus pulposus 척추간판 탈출증
OA : osteoarthrisits 골관절염
-
bile color vomiting
쓸개즙이라 불리는 담즙의 경우 간에서 만들어 > 담낭저장 > 십이지장 분비 > 지방분해, 소화도움
위 괄약은 위-식도, 위- 십이지장,, 유문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을 경우 담즙역류 초래가능
원인 : 기름진 식사 많거나 담즙과다 분비, 지나친 자극적 음식 섭취, 알코올 섭취, 과도 스트레스, 먹고바로 눕는 습관 등
구토 시 위산성분 함유로 식도 및 치아 추가손상 위험성으로 가급적 빠르게 입 헹구기
담즙이 분비 된 직후에는 황갈색을 보이며 십이지장에 오래 머물러 있을수록 산화되어 녹색으로 변한다.
초록색 토의 경우 담즙이 오래동안 산화되어 섞여나온 것.
구토를 하게되면 가장 위층의 음식물, 위액이 나오고 그 다음 노란색 위액 그리고 최후로 초록색 위액 나옴
주 원인은 장폐색, 역류성 위염. 특히 신생아, 유아에게 많이 발생 intussusceptio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