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atel's firstaid

17

by 꿀오소리 2022. 9. 12.
728x90
반응형

fibular 비골

pancytopenia 범혈구감소증

 

나이트 charge준비

1.처치 fee 넣기. 필너line, abga 확인

2. x-ray 목록 뽑아두기

3. EKG, 정규 lab 뽑기 glucose, abo Check → HO, Hb 10미만환자들

4. fluid 뽑기 : 투약라벨→acting check → 응급실-약/주사 처방조회 → anti출력

anti 챙기기 anti 라벨로 서랍

 

CMS : Chronic Myelodysplastic Syndrome

만성 골수형성이상 증후군이란 종양의 일종으로서 골수에 존재하는 미성숙한 혈구들이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하게되고, 이로인해 성숙한 혈구세포들이 줄어드는 질환

골수형성이상 증후군이 생기는 명확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벤젠 등 화학물에 대한 노출 등이 원인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CMS라는 의학용어보다는 의학용어 MDS(Myelodysplastic Syndrome)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가을철 열성질환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가을철에 발생하는 고열, 발진을 동반하는 열성질환은 생명의 위험까지 초래하는 질환들이다. 이들 질환의 조기 발견을 위한 증상의 특징과 예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가을철 열성질환은 유행성 출혈열(신증후군 출혈열 Hemorr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쯔쯔가무시, 렙토스피라가 대표적 질환이다.

이들 질환은 초기 증상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Lepthangamushi syndrome’1)이라 부르기도 한다. (Lept = leptospirosis, han = hantan virus disease, gamushi = tsutsugamushi) 그 이유는 초기 증상이 24시간부터 72시간정도까지 3개의 질환이 유사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가을철 급성 열성질환의 비교표>

질 병 신증후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병원체 Hanta-virus L. interrogans O. tsutsugamushi R. typhi
병원소 설치류(등줄쥐,집쥐) 주로 설치류(쥐), 설치류(주로 들쥐) 설치류
매개충 또는
물질
-
오염된 분비물 분진
-
오염된 물
진드기 쥐벼룩
전파경로 호흡기 피부, 점막 진드기에 물림 호흡기, 피부
잠복기 2-3주 4-19일(평균 10일) 6-21일 1-2주
증상의 기간   약 1주 약 1-2주  
발생시기 10-12월 9-10월 10-11월 10-2월
진단 IFA, ELISA MAT, 배양검사 IFA, IIP IFA
주 증상 급성신부전, 출혈성경향 폐출혈, 발진, 황달 고열, 발진, 가피 고열, 발진
피부병변 점상출혈 발진 발진, 가피
(물린자리의 딱지)
발진
치료 대증요법 doxycycline doxycycline doxycycline
예방 예방접종
구서작업
예방접종
doxycycline1주 1회
doxycycline 1주 1회 doxycycline1주 1회
2004년도 국내 환자발생현황 427명 141명 4,699명 19명
사망율 치료시 5% 비치료시 5-10% 비치료시 10-30% 치료시 1%이하

BDR bronchodilator test 기관지확장제 반응 검사법

RCE recurrent corneal erosion 재발 각막 미란

PMC Pseudomembraneous 위막성대장염

TCL transverse carpal ligament 횡수근인대

 

pyelonephritis 신우신염

disorientation 지남력 상실

 

coryza 코감기

 

CVA 는 크게 두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요.

첫번째는 뇌졸중이라는 의미의 Cerebrovascular accident, 그리고 두번째로는 갈비척추각이라는 의미의 Costovertebral angle 입니다.

CVAT 는 CVA의 Tenderness가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뇌졸중의 CVA가 아닌 갈비척추각의 CVA인거죠.

Tenderness는 압통이라는 말로 두드릴때 통증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즉 CVAT를 해석하면 '갈비척추각 압통' 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고, 이말은 쉽게 얘기하면 등 쪽 옆구리를 두드릴 때 통증이 있다는 말입니다.

CVAT가 Positive면 두드릴 때 통증이 있는 것이고, CVAT가 Negative면 정상으로 두드려도 통증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 CVAT는 주로 신장에 염증이 생기는 급성 신우신염이나 신장, 요로에 돌이 생기는 요석증의 경우에 Positive로 나타나는데요, 신장은 우리몸에서 앞쪽보다는 뒤쪽에 있는 장기이고 따라서 등 아래쪽을 주먹을 쥐고 두드리면 통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신장은 양쪽에 하나씩 있으니까 등의 아래쪽 가운데보다는, 등의 양쪽 아래부분을 두드리면 통증이 발생

등을 두드릴때 그렇게 세게 두드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평범한 사람의 경우에는 통증이 느껴지지 않지만, 신장 주위에 염증이 생긴 경우나, 돌이 들어가서 소변길을 막고있는 경우에는 조금만 두드려도 통증이 심하게 느껴질 수 있고, 따라서 굉장히 유용한 신체검진

출처 : 의학용어 CVAT, 의학용어 EOM, 의학용어 PTE 에 대해 알아보자!

 

의학용어 CVAT, 의학용어 EOM, 의학용어 PTE 에 대해 알아보자!

1. 의학용어 CVAT 이전에 CVA 라는 의학용어에 대해서는 한번 글을 포스팅했던 적이 있습니다. CVA 는 크게 두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요. 첫번째는 뇌졸중이라는 의미의 Cerebrovascular accident, 그리고

yoonsy3152.tistory.com

 

sinusitis 코 주위의 뼛속에 있는 빈 공간인 부비동에 염증이 생긴 질환

 

Sinusitis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For the joint inflammation condition, see Synovitis. Inflammation of the mucous membrane that lines the sinuses resulting in symptoms Medical condition SinusitisOther namesSinus infect

en.wikipedia.org

aphasia 실어증

dysphasia 언어장애

paraparesis 하반신불완전마비

 

GTCs란

GTC는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의 약자로 seizure의 종류 중에 하나를 말합니다.

흔히 대발작으로 알고 계시고 그 양상도 옆에서 지켜보면 굉장한 충격으로 다가오죠.

Generalized(뇌 전체에 동시에)

Tonic(뻣뻣해지고 힘주는 증상)

Clonic(규칙적으로 떠는 증상)

이라고 풀어서 쓰고 양상 또한 이러합니다.

 

geralized라는 것은 뇌의 일부 또는 한쪽반구가 아니라 뇌의 양쪽반구 동시에 뇌전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요. 처음에 환자는 어~ 어~ 소리를 내리도 하면서 온몸이 뻣뻣하게 힘이 들어가고 이때 고개를 돌리면서 한쪽으로 몸이 돌아가기도 합니다.

그러고 나서는 리드미컬하게 팔 다리를 퉁퉁 튕기면서 규칙적으로 떱니다.

GTC가 나타나면 의식소실이 되므로 의사소통은 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혹시라도 focal sz(partial sz) 일 수도 있기에 sz를 시작하는 초반에 의식체크를 해서 확실히 의식이 있는지 없는지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GTC seizure가 뭐죠?|작성자 뇌전증알려주는사람

 

뇌파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국제뇌파전문가(신경과) /'오늘 심은 씨앗으로 하루를 판단하라'

blog.naver.com

 

expire

장례식장 pulse, 사망선언, asystole 기록

사망선고 불상선고 환자이름..?

r444 관계..?

환자주소와 같은 등본. 환자이름 맨위로 나오게해서 떼오게 하고 사망진단서 발급가능.

휴일일 경우 방법없음.

 

728x90
반응형

'Ratel's firsta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0) 2022.09.18
18  (0) 2022.09.16
16  (1) 2022.09.12
15  (1) 2022.09.12
14  (0) 2022.09.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