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atel's firstaid

52

by 꿀오소리 2023. 8. 10.
728x90
반응형

MRCP 복부 검사 시 호기 후 보다 흡기 후 검사에서 영상의 질의 평가에서 더 우수하게 나타났고, 호기 후 호흡 정지가 안 되는 환자는 흡기 후 호흡 정지가 좀 더 수월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MRCP 검사는 호기 후 검사의 완성도가 높으나 호기 후 14-15초의 호흡 정지가 어려운 노인 환자들에 대해서는 흡기 후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영상의 진단적 가치가 있어 호기 후 호흡 불안정에 따른 영상의 불완성도 또는 검사의 실패를 대처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Rt side EBDPnx : PneumothoraxSSS → s/p PPM

SSS : Sick sinus syndrome는 동기능 부전 증후군이라고도 하며, 동결절에서 전기생성이나 주변 심방으로의 전기전도에 장애가 생겨 일순간 맥이 뛰지 않거나 생리적 요구에 심박수에 미치치 못하여 현기증, 호흡곤란, 흉부 압박감, 전신쇠약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C.difficile : positive

C.difficile test는 Clostridium difficile (C. difficile) 세균이 증식하여 대변에서 독소를 생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12. 이 검사는 대변에서 독소를 검출하는 방법과 세균을 직접 검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1.

oseoporosis : 골다공증

 

echo상 IE 배제하지 못하여 TEE 시행

TTE는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의 약자로,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가슴 표면에 초음파 탐지기를 부착하는 검사입니다. TTE는 IE(infective endocarditis)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이지만, TEE(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에 비해 민감도가 낮습니다1. TTE상 IE소견이 보이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장 판막이나 인공 판막에 vegetation(세균이나 혈전으로 이루어진 질량)이 부착되어 있는 모습
  • vegetation이 심장 내부를 흘러다니거나 탈락하여 다른 장기로 새로운 감염을 일으키는 모습
  • 심장 판막의 파열, 파열된 판막으로 인한 심장 내부의 혈액 누출, 심장 주위의 액체 축적 등 IE의 합병증을 보여주는 모습

Seizure가 발생하면 혈액 속 ammonia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seizure 발생 시 뇌에서 ammonia가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ASM med는 Anti-seizure medication(항경련제)의 약자입니다. 

 

strick 엄격한

STSG는 Split Thickness Skin Graft의 약자로,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층의 일부를 채취하여 화상 부위에 이식하는 수술입니다1. STSG는 넓은 부위의 화상 상처를 빠르게 낫게 하는 치료방법이지만, 흉터가 심해질 수 있고, 이식된 피부의 색깔이나 느낌이 다를 수 있습니다2. STSG를 할 때는 더마톰이라는 기계를 사용하여 피부를 떼어내고, 메쉬라는 기구를 통과시켜 피부를 늘린 후, 이식 부위에 고정하고 드레싱합니다. STSG는 FTSG(Full Thickness Skin Graft)와 달리 전층 피부를 이식하지 않기 때문에, 이식 부위의 피부 질감이 정상에 가까울 수 없습니다. STSG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면, 아래의 링크들을 참고해보세요.

Orrientation T/P/P ( time/place/person ) 옳게 답하면 +, 아니면 -로 작성.

SOB : shortness of breath

재생불량성 빈혈aplastic anemia

U-slab splint / Coaptation splint

- 상완골의 손상시 사용

   위의 사진과 같이 상완골의 골절시 어긋나지 않도록

   어깨부터 팔꿈치까지 적용하여 지지해줌.

Sugar tong splint

- 요골/ 척골 등의 원위부위 손상시 사용(회전 방지)

Double sugar tong splint

- 전완, 팔꿈치의 손상시 사용하며

  (다른 splint에 비해 회전이 많이 제한된다)

 

cystitis : 방광염

moyamoya : 모야모야병은 뇌혈관 질환으로,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안쪽 목동맥 가지치는 부위의 혈관이 서서히 좁아져 막히는 병입니다. 증상으로는 경련, 두통, 의도하지 않은 근육의 움직임, 몸의 한쪽 부분마비 또는 팔의 마비, 뇌졸중, 정신지체, 시야장애 등이 있습니다. 이 질환은 대부분 양측성으로 생기며 일부에서 일측성으로 시작되기도 합니다. 일측성 모야모야병의 경우 30~40% 정도에서 양측성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유전적 이상, 자가면역 및 혈관의 물리적 손상 등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은 명확히 규명되지 못하였습니다.

 

meniscus injury : 반월(판) 손상

슬관절 굴곡위에서 회전이 강제되었을 때에 반월(판)손상이 일어난다. 내ㆍ외 어느 반월판에도 일어나는데 슬관절의 완전신전이 불가능하게 되며 관절혈종이나 침출액 정체가 나타난다. 또한 환측에 체중을 가할 수 없으며 보행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ITP는 면역성 혈소판감소증(Immune thrombocytopenia)의 약자로, 혈소판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질병이 없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혈소판 수의 감소로 인한 출혈 장애입니다. 면역계가 자신의 혈소판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여 이를 파괴합니다. 증상으로는 피부에 작은 자주색 점(점상출혈)이 있고 출혈이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진단은 혈소판 수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붕소양성자 치료?

  • 붕소양성자 치료의 원리: 붕소양성자 치료는 암 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방사선 치료입니다. 암 세포에 붕소-10이라는 원소를 특이적으로 표적으로 삼아 전달하고, 이를 중성자로 조사하여 붕소-10을 붕소-11과 양성자로 분열시킵니다. 이때 발생하는 양성자와 붕소-11은 암 세포 내에서 고에너지 방사선을 방출하며, 암 세포를 파괴합니다.
  • 붕소양성자 치료의 장점: 붕소양성자 치료는 암 세포에만 작용하므로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방사선 치료와 달리 부작용이 적고, 암의 재발과 전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 저항성을 가진 암 세포에도 효과적입니다.
  • 붕소양성자 치료의 적응증: 붕소양성자 치료는 뇌종양, 간암,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등 다양한 종류의 암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뇌종양에 대한 임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뇌내 임상불가능한 종양에 대해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zoster와 meningitis

 

728x90
반응형

'Ratel's firsta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ew 10~19  (0) 2023.09.24
review 1~9  (0) 2023.09.20
ventilator  (1) 2023.07.27
51  (0) 2023.07.26
50  (0) 2023.07.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