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 hydroureter : 수뇨관,,
PTE : pulmonary thromboembolism 폐동맥혈전증
BFS : bronchoscopy 기관지내시경
ecchymosis : 반상출혈
NTG는 혈관을 확장시켜 협심증의 통증을 줄여주는 것이고 Beta blocker인 codein이 HR을 낮춰주는 것이다.
hysterectomy : 자궁절제술
decerebrate posture valpreate?
hydronephrosis : 수신증, 신우/신배가 확장하여 거기에 오줌이 정류해 있는 상태
→ 어떤 원인에 의하여 콩팥에서 요관과 방광으로 내려가는 길이 막히게 되면 소변의 저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막힌 부위 상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콩팥의 신우와 신배가 늘어나 있는 상태.
pre-renal
post-renal
pentotal 진정동의서 는 받고, 진정기록지를 쓰지 않는다.
BDR은 무조건 예약하고 입원보낸다~
cholangiocalcinoma : 쓸개관암,, 담관에 발생한 암
miliary TB : 속립성 결핵 = 좁쌀결핵 = 파종성 결핵
속립성 폐결핵이란 결핵의 초기 감염(primary infection) 후 혈행성 전파를 통해 결핵균이 전신으로 침범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면역력이 낮은 소아나 항암 치료중인 환자, 면역 억제제를 투여중인 환자, 백혈병 환자 등에서 잘 발생합니다. 폐 외의 장기인 뼈, 간, 신장, 비장, 뇌 등을 침범하게 되며 뇌 및 수막을 침범할 경우 뇌수막염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검사상 주로 CBC 혈액검사 이상 소견을 나타내며, leukopenia, lymphopenia, anemia, polycythemia 소견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M-spect (심근촬영)→ high risk → cardiac evaluation(평가)
pH↑ CO2↓ → volume 많다는 의미 ! → O2 줄여주고, Fio2 ↑ 적용해주면 된다~
Rt. permanant catheter : 투석용카테터 = 줄여서 perm cath
시술시간은 대략 20분가량 소요되며, 국소마취 또는 수면마취로 진행됩니다.
펌캐쓰를 넣은 쪽 중심정맥에 혈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동정맥루를 만들어 줄 팔의 위치를 잘 고려해서 삽입하는 것이 좋지만 응급 상황에서는 기본적으로 우측 쇄골 아래쪽 피부를 통해 우측 목에 있는 내경정맥으로 삽입합니다.
[출처] 투석용 카테터 (permanent catheter)|작성자 큐베
edematous 수종(부종)상(성)의
Influenza A/B & RSV RT-PCR_POCT 빨강 드르가서~
onflu EG OD
DOE : dyspnea on exertion 운동시 호흡곤란
PVC :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심실조기수축
Sputum expectoration(뱉음) 격려
--
tacrobell 면역억제제
hiatal hernia : 식도열공 탈장,, 위의 일부분이 식도 열공을 통해 흉강쪽으로 빠져나간 것.
광대 : zygomatic
liver cyst : 간낭종,, 간 내에 얇은 막에 둘러싸인 액체가 들어있는 물혹
[정의] 간낭종이란 간 실질 내에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공간이 생겨 그 속에 액체가 들어 있는 형태로, 단순한 물혹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CRAB : Carbapenem resistant pseudomonas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
Total CO2 content 10↓ → Tasna PO ( Bicarbonate )
urticaria : 두드러기
OS 는 진단서, 소견서 불가?
mycosis funguides : 균상식육종,, 피부 림프종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말초 T림프구에서 기원,, 피부에 악성 신생물이 나타나는 치사성 질환. 균상육아종 또는 악성피부망상증이라고도 한다.
IPF 의학용어 :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특발성 폐섬유증
Spondylitis : 척추염
* LC, Variceal bleeding → EVL 식도정맥류 결찰술
1. LC : liverf cirrhosis :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이 만성화되면 염증으로 인해서 간이 섬유화되어 딱딱해지고 그로 인해 간 기능이 저하되어 이걸 간경화 라고 한다. 간경화는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서 꼭 치료가 필요하다.
간기능이 저하되니 황달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간성혼수, 식도정맥류 등의 간기능 부전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 모두 나타날 수 있다.
LC는 간기능 검사 ( LFT), Abdomen sonography, abdomen CT 등으로 진단가능
2. Esophageal varices 식도정맥류
식도정맥류는 말 그대로 식도에 있는 정맥이 부풀어 오르는 질환.
저액이 부풀다 터지면 출혈로 인하여 12~22% 환자가 사망에 이르게 되는 응급 질환이다.
간경화가 생기면 간이 딱딱해지고 간 조직이 울퉁불퉁해지는데, 그로 인해 간 조직 내 혈관이 압박받아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는다. 식도나 위와 같은 간 근처의 혈관도 순환이 더뎌지니 혈관이 부풀어 오르고 결국 터지는 것이다.
3. EGD-EVL ( esophagogastroduodenoscopy-Endoscopic Varix ligation, 위내시경-식도정맥류 결찰술 )
식도정맥류는 EGD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식도정맥류 결찰술도 내시경을 이용하여 시행하는 데 내시경을 통해 식도를 살펴보고, 발견된 정맥류를 고무밴드로 묶어 자연 괴사를 유도하는 것.
onset : 발생시기
PE : 신체검진
OT/PT : 간효소검사
TB : total billirubin
EUS 의학용어 : endoscopic ultrasound 내시경 초음파
conservative : 보수적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