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T 의학용어 : elective convultive therapy 전기적 경련요법,, 뇌에 전기적 자극 주어 일시적 경련 유발함으로써 정신 병을 치료하는 방법
pneumothorax 기흉
wafarin으로인해 INR ↑ 환자 굳이 FFP?
cholecystitis
대부분의 증례에서 담석을 볼 수 있다. 원인이 되는 세균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대장균이고, 포도상구균 ·연쇄구균 ·폐렴간균이 그 다음으로 많다.
증세는 담석증과 마찬가지로 우상복부 통증 ·발열 이외에 이따금 황달이 나타난다. 염증이 심해지면 오한전율을 수반한 고열이 나고 동통도 심해지며 복벽의 긴장이 현저해진다.
진단은 십이지장 존데법(sonde 法)으로 채취한 담즙을 배양하여 세균을 검출한다. 염증이 가라앉으면 담낭조영(膽囊造影)을 하여 결석(結石)의 유무를 조사해야 한다.
치료도 담석증에 준하여 실시하며 안정시키고 진통제를 투여하며 담낭부위를 찬 물수건 또는 얼음주머니로 식힌다. 식사는 지방질을 제한한다. 염증을 일으킨 균에 유효한 항생물질을 투여하고, 재발되거나 구멍이 뚫릴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로 담낭을 적출하여야 한다.
급성 담낭염
주로 담석이 담관을 막았을 때 생기며, 그 외에도 대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 외부로부터 심한 충격을 받은 사람, 간흡충증이 있는 사람, 당뇨환자에게 잘 발생한다. 담관이 막히면 담즙의 농도가 짙어져 염증이 생기며, 이 부위가 대장균 등 세균에 감염되어 급성 염증이 발생한다.
증세는 오른쪽 윗배 부위가 심하게 아프며, 가스가 찬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통증은 식사를 한 후에 발생하며,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먹은 경우에는 더 심해진다. 심한 경우에는 열이 나면서 오한이 일어나고, 구역질과 구토를 동반하기도 하며, 황달이 일어날 수도 있다.
제대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2~7일이 경과하면서부터 담낭천공·담낭농양·담낭괴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드물게는 담낭공장루·담낭위루가 생기기도 한다. 합병증이 일어났을 때의 사망률은 20% 정도이다. 치료는 수술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일단 항생제를 투여하여 급성염증을 가라앉힌 다음에 수술을 통해 담낭을 절제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담낭염 [cholecystitis, 膽囊炎]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myelodysplastic syndrome :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kyphosis : 척추후만증
글루카겐 하이포키트 주 [1mg]
( Glucagen hypokit inj [1mg] ) glucagon hydrochloride
효능 : 당뇨환자의 심각한 저혈당증 치료 |
부작용 : 구역, 구토, 혈압 변화 |
의약품상호작용 : 인슐린, 항응고제, 인도메타신, 베타차단제 등 |
1. 이 약은 주사제입니다. 2. 저혈당 증상에는 다한, 두통, 심한 배고픔, 빠른 심박동, 시력이상, 현기증, 오한, 구토 등이 있습니다. 3. 임산부, 수유부는 의사에게 미리 알려야 합니다. 4. 이 약은 차광보관합니다. |
보관방법 : 차광밀봉용기, 2~8℃보관 |
ACS : Acute coronary syndrome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emphysema 폐기종 : 폐포가 현저하게 확장하여 폐포 내의 함기량이 증가한 상태
hypoplastic anemia 재생불량성빈혈 : 다양한 원인에 의해 골수세포의 기능과 세포충실성(cellularity)이 감소하고 골수조직이 지방으로 대체되면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모두가 감소하는 범혈구 감소증(pancytopenia)이 나타나는 조혈 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이다.
* HD 항응고요법
- 체외순환 시 혈액 응고를막기 위해적절한 항응고제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임.
- 체외순환회로 응고 유발 요인 : 느린 혈류 ( BFR), 높은적혈구용적률 ( Hct ), 높은 초미세여과율 (TUF), 투석통로 재순환, 투석 중 혈액 및 혈액제제 수혈, 투석 중 지질액 주입, 점적 장치의 사용 ( 공기노출, 거품형성, 와류 ) 등
② 헤파린 주입
헤파린의 장점
|
헤파린의 단점
|
|
|
- 헤파린 표준희석액: 헤파린 25000U/5ml + NS 250ml(100U/ml) or 헤파린 25000U/5ml + NS 500ml(50U/ml)
- 헤파린 희석액 표기: 수액 혼합 시 수액의 총량과 혼합되는 헤파린 용량을 IU단위로 표기, 수액 이외의 경우 희석에 사용한 용매와 희석액 ml당 헤파린의 용량을 IU단위로 표기
- 사용 시 주의사항
- 처방에 따라 aPTT 모니터링
- 응고시간이 길어지거나 출혈이 있으면 처방에 따라 투여 중단
- IU단위로 처방되는 약물과 분리 보관
- 과량 투여 시 해독제로 황산 프로타민 투여(헤파린 1000U 당 1~1.5ml(10~15mg)
③ 헤파린 주입방법
- 헤파린 사용 시 항상 출혈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요독증과 같이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에서 주의해야 함.
- 24~48시간 이내 수술을 받았거나 투석 후 수술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최근 상처를 입었거나, 출혈부위가 있는 경우, 치과 치료 예정인 경우 특히 출혈 위험 주의
전신적 헤파린 요법
|
간헐적 정맥 주입 헤파린 요법
|
지속적 정맥 주입 헤파린 요법
|
|
|
|
⑤ 항응고요법 시 주의해야 할 약제
- Heparin(헤파린)
- Nafamostat mesylate(후탄)
- Enoxapirin sodium/저분자헤파린/Clexan(크렉산)
- Fragmin(프라그민)
![]() |
![]() |
항응고요법 시 주의해야 할 약제
⑥ 항응고요법 시 주의해야 할 약물
- Warfarin(와파린)
- Aspirin(아스피린)
- Plavix(플라빅스)
![]() |
![]() |
![]() |
항응고요법 시 주의해야 할 약물
[출처] Part 3-2. 혈액투석의 개념과 원리(2)|작성자 뚝딱이
AE 의학용어 : Exacerbation 악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