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ihepatitis : 간주위염
dominant : 우세한, 우성의
Amylase, lipase ↑
--
* Churg - Strauss syndrome : 척-스트라우스 증후군
알레르기성 육아종성 혈관염이라고도 한다. J. Churg과 L. Strauss(1951)가 결절성 다발동맥염에서 분리, 독립한 질환인데, 중년여성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지만 원인이 불명하고 매우 드문 질환이다. 기관지천식, 호산구증다가 선행하여 폐침윤, 혈관염증후가 나타난다. 조직학적으로는 괴사성 혈관염에 더하여 호산구에 많은 육아종을 형성하고 혈관외 유아종도 생긴다. 결절성 다발동맥염과 중복한 예도 있다.
또한 호산구성 폐염, 호산구성 장염에 관련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기관지천식, 호산구증가, 혈관염증후(다발성 단신경염이 많다)의 임상적 소견에 의해서도 진단하며 반드시 조직소견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진단할 수 있다. 호중구세포질항체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추르그-스트라우스증후군 [Churg-Strauss syndrome, ~症候群]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증상 : 발열, 무력감, 근육 및 관절통, 식욕감퇴, 체중감소 등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 나타내는 지표인 백혈구의 호산구 ( eosinophil )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
환자의 60~70%에서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이 초기 증상으로나타나는데,본격적인 혈관염이 나타나기 8~9년 전부터 지속되는 경향이 많다.
천식이나 폐질환이 전신반응보다 1~2년정도앞서서 발생하기도 한다.
원인?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 없으나 호산구 침착으로 인해 발생.
즉, 혈관과 조직에서 많은 호산구와 IgE, 호산구에 의해 유발된 독성 단백질이 혈관염을 일으킴.
천식이나 다른 알레르기 질환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면역반응 및 자가면역반응으로 인해 이 질환이 나타나기도한다~
--
* SMA syndrome : 상장간막 동맥 증후군
1. 상부 장간막 동맥 ( SMA ) 과 대동맥 ( Aorta )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십이지장의 세 번째 부분이 압박되는것이 특징.
2.M/C 중간 장간막 지방 패드 ( mesenteric fat pad ) 의 손실 원인
증상 : upper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anorexia, loss weight
mark k's 대본
[NCLEX] 12 L-Mark-Klimek-Prioritization-and-Delegation(1)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