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LEX

ADH-DI & SIADH, Infiltration & Extravasation

꿀오소리 2022. 12. 22. 21:39
728x90
반응형

* ADH - DI 의학용어 : AntiDiuretic Hormone - Diabetes Insipidus 항이뇨호르몬 - 요붕증

 

사람 몸에서 배출되는 하루 소변 양은 체내의 수분과 전해질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체내 수분이 부족할 경우 뇌하수체에서 항이뇨호르몬이 분비되어 소변 양을 줄이게 된다. 요붕증은 이러한 작용을 하는 항이뇨호르몬이 뇌하수체에서 제대로 생성되지 않거나, 분비된 항이뇨호르몬이 소변을 만드는 신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서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소변이 생성되고 과도한 갈증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요붕증 [diabetes insipidu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SIADH 의학용어 : syndrome of inappropriate secretion of ADH 항이뇨호르몬 부적절분비증후군

 

 요붕증과는 반대로 ADH의 분비가 부적절하게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질환이다. ADH가 계속 분비되면 콩팥에서의 물의 재흡수가 촉진되어 체액량이 증가한다. 물론 물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몸의 어느 부분에서 물만을 버릴 수 있다면 체액량은 증가하지 않겠지만, 그렇게 되지는 않으므로 체액량이 증가하며 또한 혈액도 희석되어 간다. 염분이 함께 늘어나면 희석되지 않겠지만 물만 배출되지 않고 몸에 저장되기 때문에 혈액은 희석된다.

더욱이 체액량의 증가는 콩팥 혈류량을 늘리고, 또한 GFR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레닌(renin)의 분비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원위요세관에서의 나트륨의 재흡수는 억제되어, 그대로 요중으로 흘러나가는 상태가 되어버린다. 집합관에서는 ADH가 과잉 상태이므로 물이 점차 재흡수되어 나트륨 농도가 높은 소변이 만들어진다. 

이처럼 SIADH에서는 단순히 물의 재흡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희석성 저나트륨혈증 외에 절대량으로서의 체내 나트륨량이 저하되는 것이 핵심이다. 반대로 요중에서도 단순히 물이 없기 때문에 삼투압이 높은 것이 아니라, 실제로 나트륨이 요중으로 많이 버려지기 때문에 삼투압이 높아지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SIADH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9 : 내분비, 2013. 5. 10.)

 

hypophysectomy : 뇌하수체 절제(술)

serum osm : 혈중삼투압

 


 

Infiltration : 침윤

Extravasation : 혈관외 유출

pallor : 창백함

blistering : 수포, 물집

sloughing : 벗겨진

HCP : health care provide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