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오소리 2024. 6. 25. 21:44
728x90
반응형

MSA multiple system atrophy 다계통 위축증 ( 다발성 신경계 위축 ),, 임상적으로 파킨슨 증상(안정떨림, 경직, 운동완만 및 자세 불안정성 등)이 나타나면서, 초기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 

OH orthostatic hypotension 기립성저혈압

TTH tension type headache 긴장성 두통,, or 갑상샘자극호르몬

WBRT whole brain radiation therapy 전체뇌방사선치료

omentum 그물막

탈수초성질환 : 말초신경에 염증이 생겨 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수초가 벗겨져 발생하는 급성 마비성 질환

sweet syndrome : 달콤한증후군,, SS로 약기한다. 달콤한 병, 급성열성호중구성피부염이라고도 한다. 발열(때로는 39℃이상의 고열), 관절통과 같이 압통이 있는 경계가 뚜렷하게 융기하는 홍반이 중독감(重篤感)을 수반하여 급격히 발증

neutrophil ↓ → chronic anemia or BM test

백혈구증가증 낮은 면역력 의미,, 50만 정도 부터 역격리 생각??

supervision 하 ambulation

NTM 의경우 진단위해 Broncho 및 유전자검사 가능

T-stomy c retainer

외래처방전은 외래수납 후 발급가능

pupil check https://blog.naver.com/loveshj2525/222869401989

 

pupil size,light reflex체크하기:동공반사

환자 신경계사정의 가장 기본이 되는 pupil reflex , 변화가 있을경우에는 반드시 노티를 해야한다. 특히나...

blog.naver.com

EVD 고려

Atropy 위축

intermediate 중간의 risk


소화기계로 가는 모든 피는 결국 문맥을 통해서 간으로 갑니다. 사람이 섭취하는 모든 음식물은 간에서 대사됩니다.

 

간은 사람에서 일종의 공장 같은 일을 하고 외부 물질이 들어오면 해독하는 작용도 하고 있습니다. 다른 중요한 기능은 알부민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이 알부민을 합성하며 알부민은 피 안에 있는 단백질 중에 가장 양이 많습니다.

알부민 부족 : 단백질 섭취량 부족, 간질환, 신장질환, 영양결핍, 심한 감염 등이 원인

알부민 high : 탈수 등

AST/ALT라고 하는 것이 OTPT라고 하는 수치

T-bilirubin : 적혈구의 파괴로 인해 생성되는 노폐물로, 간에서 처리되어 다믖ㅂ으로 배출되는데, 빌리루빈 수치는 간기능과 혈액질환, 담도 질환의 중요한 지표,, 대개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2.0~2.5mg/dL 넘으면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되고, 소변색이 진한 갈색으로 변함. 수치가 더 증가하면 손바닥을 비롯해서 피부가 노랗게 변한다.

 

적혈구 파괴 -> 빌리루빈 ( 간접 빌리루빈 ) -> 직접빌리루빈 ( 간에서 변환 완료 ) -> 간에서 담즙으로 배설

* 길버트 증후군 : 간접 -> 직접 빌리루빈 변환 과정의 선천적 능력 부족

 

Plural effusion, GFR 50이하? Self I/O 생각

센터운영지원팀 3205 내과 여기로 전원문의,, 외과는 과 당직폰으로

Dyskinesia 운동장애, 이상운동증

motor intect(온전) 함.

mental change for drug 중독검체 생각

polycythemia vera 진성다혈구증 : 만성골수증식성 질환의 하나로, 적혈구계 세포의 클론성 증식을 일으키는 질환. 순환적혈구량의 절대적 증가를 나타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