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 환자감시
p13 하단 EKG 지글지글
p17 up When is ST segment 상승 및 하강은 어던 질환의 동반을 의미?
MI, acute pericarditis 및, CABG, CAG, PCI 이후 환자에게도 나타날 수 있음.
p21 down PAC vs PVC
PAC ( premature atrial contraction ) 조기심방수축,, 전기자극의 시작이 동방 결절이기에
PVC (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 조기심실수축,, 심실이 동방결절보다 먼저 수축, PVC 2,3개 연속으로 지나가면 VT가능성있어 notify
23p
paroxysmal 발작성
* 발작성 심방세동의 경우 발생하게 된 원인을 찾아 교정하면 정상 동율동으로 쉽게 돌아온다.
보통 Dehydration ( 탈수 ) 나 갑상샘 기능 항진증과 같은 호르몬의 작용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4 up Who is persistent A-fib?
persistent 지속적인 심방세동을 진단받은 환자의 경우, 심박동수의 조절, 정상 동율동으로의 전환을 위한 부정맥제와 함께 뇌졸중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를 규칙적으로 투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에 제대로 약물이 투여되는지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25up What PSVT?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심장의 올바른 자극 전도계 : 동방결절 ( SA node ) -> 심방 > 방실결절 ( AV node ) > his bundle > bundle branches ( 좌우 다발분지) > purkinje fibe ( 퍼킨제 섬유 ) 가 심장의 수축이 발생하는 순서.
psvt는 심장 내에 불필요한 전선이 있으면 앞서 말한 것처럼 전기 자극이 순차적으로 심장 전체로 퍼져가는 것이 아니라, 심장 내에서 맴돌게 될 수 있다. psvt 는 이렇게 전기 자극이 심장 내에서 맴돌면서 심장이 빠르게 뛰는것을 말한다.
조금있다가 정상 올 수 있지만 빈맥이 지속되는 경우 정상 동율동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교정이 필요하다.
특히 psvt는 HR 160~220회/min 정도로 매우 빠르기에 빈맥 오래 지속되지 않도록 즉각 처치하는것이 좋다. 주로 항부정맥제인 adenosine 의 투여나 심율동 전환술( cardioversion ) 을 시행해서 정상 동율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 26p
28 When 동성서맥? 서맥에는 1. atropine 2. TCP
Defibrillator(제세동기) 사용법 2..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30down 경피형 심박동기 (TCP )전류 설정
31 TCP 주의점
32-33 서맥형 부정맥 1. 동방결절이상 2. 방실 전도계 이상
33 Down 방실 접합부 이탈 ( junctional escape )
35 RFCA 이후 Bradycardia
49 ICD와 CRT
53! Only ventricular rhythm..
투석못하는 환자들 thrombectomy 후 op -> 투석실연락하여 투석실 바로 갈 수 있도록!
q-phrine 올려도 상승 안되는이유가 뭘까.. line 확인? a-line확인? pump 확인? TL발 확인?
oscillation : 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