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ntilator
1. 인공호흡기 사용의 영향
- 심장에 미치는 영향
폐혈관 저항 및 우심실 후부하가 증가되고 정맥귀환이 저하되어, 심박출량이 저하되고 혈압이 떨어진다.
- 소화기계에 미치는 영향
복압이 증가되면 간으로 흐르는 혈류가 감소하여 빌리루빈이 증가하고 알부민이 감소한다.
2. 환기 양식의 분류
1) 제어변수 ( 통제 변수, control variable ) 에 따른 분류
흡기를 시작하기 위해서 인공호흡기가 조절하는 변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압력 혹은 용적을 주 변수로 하여 조절하게 된다.
a. 용적조절환기 ( VCV : Volume control ventilation )
- 설정된 일회 호흡용적 ( tidal volume ) 이 흡기의 목표인 환기양식
- 흡기압은 환자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흡기유량은 일정하다.
b. 압력조절환기 ( PCV : Pressure control ventilation )
- 설정된 기도압 ( Peak inspiratory pressure ) 이 흡기의 목표인 환기 양식
- 일회 호흡용적은 환자 상태에 따라 일정하다.
- 흡기 시간은 치료자가 설정하므로 일정하다.
2) 호흡유형 ( type of breath ) 에 따른 분류
a. 강제호흡 ( mandatory breath )
모든 환기가 인공호흡기에 의해 구동.
환자의 흡기노력이 없을 때는 주로 설정한 시간 간격에 의해 주기적으로 유발되는 control breath와 환자의 흡기노력이 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유발되는 assist breath가 있다.
b. 자발호흡 ( spontaneous breath )
환지가 환자의 노력에 의해 시작되고 일어나는 환기
* 조절강제환기 ( CMV : 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
CMV는 대상자 스스로 호흡을 전혀 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
인공호흡기가 환기를 유발하는 양식으로서 대상자의 자발적인 흡기노력과 상관없이 치료자가 설정해 준 1회 호흡용적치 횟수로 기계적인 환기가 이루어진다.
* 보조적 강제환기 ( ACMV : Assites/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
일정시간대 동안에 환자에 의한 흡기유발 ( assited mandatory ventilation ) 과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기계에 의한 유발이 모두 가능하되 모든 환기가 인공호흡기에 의해 구동되는 환기
→ 간헐적 필수환기 ( IMV :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synchronized )
계속적으로 대상자가 자연스런 호흡을 하면서 인공호흡기가 정해진 1회 호흡량을 정해진 횟수에 따라 전달하는 양식.
대상자의 자발적인 호흡 사이에 치료자가 설정한 강제적 환기를 삽입하는 방식.
→ 동시성 간헐적 강제환기 ( SIMV :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synchronized )
IMV가 일정 시간대 ( assist window ) 동안 환자의 유발이 있는 경우는 assited mandatory ventilation이,
환자의 유발이 없는 경우는 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이 제공되는 양식.
→ 압력보조 환기법 ( PSV :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환자의 자발호흡 시 치료자가 선택한 양압만큼 흡기를 보조해주는 환기법
→ 지속적 기도 양압 ( CPAP :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환자가 상승된 양압에서 자발적 호흡을 하는 것으로 환자에 의해 모든 환기가 triggering, cycling 되는 환기방식이며,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산소화 유지를 위해 양압은 필요하지만 기계 환기는 필요하지 않을 때 사용.
→ 호기말 양압 ( PEEP : 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
호기말에 치료자가 설정한 기도 내 양압을 유지시키는 방법이며, VCV나 PCV에 적용할 수 있다. 적용의 목적은 산소화와 폐탄성 개선이다. 호기말 양압의 적용으로 폐포동원 ( Alveolar recruitment ) 과 혈관 외 수분의 재분포가 가능해 진다. 폐포동원을 통해 기능적 잔기량이 증가하고 산소화 개선 효과가 있다. 혈관 외 수분의 재분포는 폐포 내 수분을 간질조직으로 이동시켜 산소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급성 퍠손상 환자에서 폐포 개방과 허탈이 반복으로 유발퇴는 VALI 예방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3) ventilator setting
- Fio2 ( raction of inspiratory oxygen )
흡기 시 흡입되는 산소의 농도를 말한다. ( 21% ~ 100% )
- tidal volume ( ml )
매회 기계가 공급하는 일회 호흡량으로 환자의 몸무게 x ( 8~10 ) 으로 계산하여 입력한다.
- RR
환자가 1분동안 호흡하는 횟수로 평균 10~16회를 설정
- PEEP
호기가 끝날 때 양압을 유지시켜 기능적 잔기용량 증가시키므로 폐포의 허탈과 무기폐로 진전되는 것을 예방한다.
- I:E
inspiration 과 expiration하는데 걸리는 기간비율이다. ( 1:2 )
- peak inpiration pressure
흡기 시 최고유량 조정기로 흡기가 끝나는 시점에서 가장 높이 올라가는 압력이다. ( 30cm ~ 50cmH2O )
적게 입력하면 흡기시간이 길어져 가스가 느린 속도로 환자에게 공급된다.
- Trigger sensitivity
환자가 호흡을 스스로 시작할 때 기계가 반응할 수 있는 음압의 수준이다. ( 0.5~20cmH2O )
4) Alarm
- high pressure limit
가래, 기침, 호흡 거친 경우 suction 시행
- low inspiratory pressure
patient circuit 접속이 제대로 되어 있는가,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
- high respiratory rate
fighting, 헐떡거리거나, 객담차있을 경우,, 근이완제와 진정제 사용
- apnea
환자가 20초 동안 호흡이 없을 때이다. 호흡격려, 필요 시 CMV Mode 로 전환.
- low pressure O2 inlet
인공호흡기에 공급되는 산소압력이 낮을 때이다.
인공호흡기를 산소공급원에 연결했는지 확인.
5) front panel
- real time waveform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 그래프 표현
- vent 유지 및 관리를 위한 utilities key
tightness test ; 새로운 circuit 사용 시 또는 호흡회로 내에 leakage 의심 시 시행
flow sensor calibration ; 인공호흡기를 사용 시 또는 화면상 " flow sensor Cal. need " 메시지 나타날 때 시행.
> 화면상의 calibration meny 에서 flow sensor를 선택한다.
> 화면상의 " disconnect patient " 지시에 따라 인공호흡기를 분리한다.
> 화면상의 " turn the flow sensor " 지시에 따라 flow sensor 의 방향을 바꾸어 끼운다.
> 화면상의 " flow sensor is calibrated " 메시지를 확인한다.
Oxyhen cell calibration ; 새로운 oxygen cell 사용 시 또는 화면상에 " O2 cell Cal. need " 메시지가 나타날 때 선택한다.
> 2분이 경과 후 완료되면 만약 화면상에 " O2 Cell cal needed " 메시지 나타나면 15분 후 1번부터 반복수행,,
- ventilation mode
apnea backup ; 환자가 20초 동안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환자에게 기계적 호흡을 전달한다.
- control setting
환자에게 필요한 각종 control 설정한다.
I:E, Oxygen, PEEP/CPAP, Rate, Vt, Trigger
rate(10~16), Vt ( kgx7~10), Fio2 ( 21~100 ), PEEP(5~10), mode 설정한다.
SPONT mode ( 자발호흡); FiO2, PEEP만 설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