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53: Cardiovascular Medications (4)
항부정맥제, , 고지혈증 치료제 부작용 기억하쟈
influx : 유입
전위생성에 기여한느 전해질은 K,Ca,Na
AMD : amiodarone,, liver toxicity, pulmonary edema 유발가능
lidocaine tocxicity : AOX3 → Alert & oriented x3 = place, person, time
beta-blocker,, 항부정맥효과, HR효과로 esmolol, metoprolol 자주사용
amiodarone liver toxicity로 OTPT 상승 시 주의,, 사용안하기도 한다.
QT interval 갑자기 늘어나면 torsades de pointes (= polymorphic V tach,, 그림처럼 주기적으로 돌아오며 발생 ) 발생가능,, amiodarone 사용하며 QTc check 잘 해야하며 정상 sec 은 140~460sec,,
Torsades de pointes 발생 시 magnesium 적용하며 over side pacing 으로 pacemaker 부착하여 HR 170정도로 올려야 한다. → overlonged QTc 줄이기위해 HR 높이는 것
Adenosin 반감기 3~5초로 주자마자바로 플러싱~~
SVT란, 심실 위의 Tachycardia 라는 의미로, PSVT, AVNRT, A-fib, A-flutter 모두 해당.
마취용, 항부정맥제 lidocaine 차이점은 마취용의 경우 epinephrine, 보존제 함께 mix 되어있어 표기돼있음.
lovastatin is highly protein-bound and should not be administered with anticoagulant..
cataract 백내장
-statin 계열 med unexplained muscular pain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