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53: Cardiovascular Medications (3)
defib, cardio 하는 방법 아라보자~
natural pacemaker 인 SA node 심방을 타고 심방탈분극 하며 P-wave 만든다.
P-wave 가 AV로 내려오고 Bundle branch 로 spike 생기고 purkinje 지나며 QRS 생성 , T-wave 는 심장의 재분극을 준비하는 이완기이다.
CO ( cardiac output ) = HR x SV ( stroke volume 심박출량)
정상인 SV 보통 70~100 정도이다.
Atropine? 부교감신경 차단제,, vegal nerve 차단하여 HR 상승시킨다. 하지만 Heart block 있거나 기타 전도장애가 있다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atropine은 SA node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만약 환자가 SA node에서 기인한 bradycardia가 아니라 complete AV block ,, 이렇게 하위 전도체계에서 기찻길이 끊어져 생긴 block 은 아무리 atropine 줘봤자 ventricle로 자극전달 되지 않는것 ! 이런경우 Noninvasive pacemaker 적용해야한다.
→ 제세동기로 pacemaker 사용하는것 !! 3: 42
permanent pacemaker 사용은 complete AV block, Sick sinus syndrome ( sinus dysfunction,, AV node 고장 )
permanent pacemaker 사용하지 않아 circulation 문제생겨 심박출량 떨어지면 syncope 등 문제발생가능
tarchycardia는 hypovolemia와 관련있다.
a-fib은 나이들면 자주발생한다. 350-600 회/min으로 뛰는데 이 전기자극이 심실로 가는것을 AV node가 지연시킨다.
AV node는 심방에서 내려오는 전기적 자극을 screening out 하는 역할을 한다. 아무리 심방이 빨리 뛰어도 심실에 그대로 전기자극 보내지 않는다는 것.
심방에서 300회 이상 뒤어도 심실은 120회 정도 뛴다? → 120회는 그래도 sinus tachy에 속하므로 심실반응 빠르다는 것. RVR (rapid ventricle response ),, a-fib의 가장 큰 문제는 formation of thrombi,, thrombos를 만든다는 것.
a-fib 발생 시 심방이 세동하여 심장의 구석에 혈액이 고여 thrombos 발생,, 이게 심실로 그대로 내려와 대동맥타고 aortic arch에서 팡~ 위로 가버리면 stroke 발생! 이 storke 예방위해 anticoagulation 필수,,
→ heparization, wafarin, NOAC(non-vit.K antagonist oral anticoagulation,, Eliquis, Pradaxa, Xarelto ) 사용
control the ventricular rhythm → amiodarone
심실 심박수 조절위해 BB(ß-blocker) 사용하기도,, 대표적으로 Metoprolol,, 5mg~10mg IV push,, metoprolol은 너무빠르게 주면 심장기능 block 되어 puzz????? 가능성 있으므로 주의 ! 아주 천천히 주자
HR 140-150 ↑, BP 점점 ↓ → Cardioversion의 indication,,
PVC란,, SA → AV → purkinje fib 순으로 전기자극 이동하나 이외 주변 근육에서 전기자극 발생해 심실에서 바로 박동나타나는 것 !
bigeminy : nomal sinus 1개, PVC 1개trigeminy : nomal sinus 3개, PVC 1개quadrygeminy : nomal sinus 4개, PVC 1개electro 뿐 아니라 hypoxemia에서도 PVC 발생가능
V-tach의 경우 일반적 전기자극순서로 진행되지 않고 심실에서 전기자극 시작해 역행한다→ 혈액도 역행하여 심박출량 줄어듦. cardiomyopathy ( 심근증), Chronic HF 환자들이 잘 생긴다. 심장 내 Scar, nacrosis 등 문제 많기 때문 PVC가 3개 이상 나올 때 부터 V-tach 감별 가능. 허나, 3개만 나오고 끝나거나, 30초 미만의 V-tach 인경우 NSVT ( non-sustained V-tech) 이라고 한다.
cardiomyopathy로 chronic cardio disease 경우 V-tach 자주발생 가능,, v-tach 있어서 봤더니 tv보고있었능데용?이럴수있다. 암튼 이런사람들에겐 antidysrhythmics ( 항부정맥제)를 투약,,amiodarone, lidocane IV 적용한다.
De/fibrillation,, fibrillation을 없앤다. PEA, asystole에서 defib 안하는 이유? 제거할 fibrillation이 없잖아~
cardiac rhythm reassessment는 10초 이내로 !
vegal maneuver : 미주신경 자극
경동맥에는 baroreceptor 있으므로 carotid massage ( pressure )하는경우 혈압높구나~ 생각해 HR 낮추는 효과 !
Carotid massage stenosis 환자는 금기 ! massage 시 thrombos 날아가 stroke 유발 가능 !
valsalva maneuver 요것도 복압 증가시켜 vegal maneuver자극
complet AV block, 2nd AV block → bradycardia 문제있는 사람들이 가끔 화장실가서 응가하다 CPR나는 경우가 있다 ㅠㅠ
Valsalva maneuver로 bradycardia인데 더 HR떨어뜨려 CPR~~ 관찰구역 화장실 CPR이요 ~
Cardioversion이란, A-fib, PSVT →tachycardia환자들 더 큰 충격 주어 natural pacemaker 깨어나게해서 nomal sinus rhythm 나오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to convert an undesirable rhythm to a stable rhythm
tachydysrhythmia : 빈맥성 부정맥
cardioversion이란, tachydysrhythmia를 치료하기 위함이다. 보통은 med로 치료하나, mental, HR 쳐지기 시작하면 약으로 안되니 때리는것.
Discharging the shock : shock이 pad에서 떨어지는 것. shock이 drop되는 것.
the defibrillator is synchronized to the client's R waveto avoid discharging the sock during the vulnerable period ( T wave)
shock이 T wave 에 떨어지면 VF 가능하다. 만약, Sync 하지 않은 상태로 shock 때려 T-wave 에 전달되면 V fib 발생,, T 는 심실이 재분극하는 시기인데 이때 때리면 안돼요~ 심지어 아래 그림은 A-flutter ( 심방조동)였는데 이보다도 못한 A-fib으로 전환,, 주륵..
모든 AED 에는 Sync버튼이 있는데 화살표로 R wave 를 잡아주어 이 표시에 shock 을 때려준다. ( T wave ) 알아서 피함.
R on T phenomenom,, : T wave에 shock 때려져 V-fib 생기게 되는것. 이거 예방위해 반! 드 ! 시 ! sync 누르고 cardioversion 해라 ~~~~~
cardioversion VS defibrillation
cardioversion은 sync를 누르고, defib은 sync 누르지 않는다.
defib 하는 상황은 VF or pulseless VT 이므로 R-wave 가 없는상황이다. R wave도 없고 PQRST 자체가 없을 때 defib을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