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51: Respiratory Medications
Albuterol는 Inhaler로 많이 쓰인다
Phenitoin은 간질 약으로 많이 쓰인다
Theophyline should be a last line medication
Theophyline + b2-adrenergic agonist(Albuterol) → cardiac dysrhythmia
하지만 respiratory distress 심한경우 둘다 줘야하며 EKG잘 봐야한다.
fight - or - flight response : 투쟁-도피 반응 ; 교감신경계가 작용하여 생긴 에너지를 소비해서, 긴급 상황시 빠른 방어 행동 또는 문제 해결 반응을 보이기 위한 흥분된 생리적 상태를 말한다.
자율신경계는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것이다. 자율신경계 과다반응은 스트레스가 많다는 것. →긴장, tremor 생길 수 있다.
anticholinergic은 아세틸콜린( Neurotransmitter 신경전달물질)을 막아muscarinic receptor의 자극을 막아준다. muscarinic receptor 는 콜린을 뇌로 전달시켜주는 역할,, 뇌로 자극시? 부교감신경 자극 → secretion 분비증가, bronchospasm(기관지) 수축,, 하므로 환자 air way 막아버리자나,, 그래서 anticholinergics 사용 ! COPD 환자들에게 많이 사용한다.
Anticholinergic side effect → dry mouth,, sugarless candy will help !bronchodilator 많이 쓰이는 것? Ipratropium, atrovent, albuterolanticholinergics, bronchodilator 사용해도 심한 athma, pneumonia patients,, large secretion, 염증반응 심하다면 corticosteroid 사용한다. inhalor, IV 둘다 사용한다.
Corticosteroid inhalor : budesonide, fluticasone,,
leukotriene : 항원항체반응 관여하는물질을 조절하는 약물,, 보통 athma의 경우 외부 antigen( stimulant 흥분제)에 대해 hyper-responsibility 때문에 나타나는것인데 ,, 실제로 염증 많지 않으나 과다하게 bronchospasm 생기거나 과다하게 inplamation ( 염증 ) 증상이 나타나는 것. 이렇게 immune 반응이과다한 사람들은 neutrophill 수치도 높기도 하다.
→→→ 요것드을 ~~조절할수 있는게 leuketrine modifier 이다. 항원항체 반응을 줄여준다.
ex ) athma 인경우 athma attack,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 무작정 약만주지 말고 atrovent, albuterol 과다사용보다는 평소증상조절위해 leukotriene modifier ,, 보통 PO med 사용
glucocorticoids 는 steroid 제제인데 immune system 면역반응을 억제시키는 약인데 leukotriene modifiers 같이 복용하면 감기, URI 위험 증가시킨다.
histamine 은 혈관확장시킨다. 세균 등 외부물질 들어왔을 때 혈관확장시켜야 면역기능 활성화되기 때문
혈관이 좁아져있는것보다 혈관이 vasodilation 되어있어야 WBC, 염증반응 물질들이 혈관안으로 쉽게 들어올 수 있다.
코막힘 등 있을 때 Antihistamine 먹으면 혈관 수축되어 congestion(혼잡, 출혈/울혈/점액에 의한 막힘)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antihistamine은 BBB ( brain blood barier ) 를 넘어가는 약물로 먹으면 졸리게된다.
→ 심지어 외국에서는 antihistamin Ex) Phenylamine을 수면제로도 쓴다 ..!! 그만큼 진정 작용이 강한 약이 항히스타민제제이다. 최근 나온 new antihistamine 제제들은 이러한 졸음작용을 없앤 약들이 나왔다.
재밌는 이야기,, 우리가 손등에 IV 잡을 때 혈관나오라고 손등을 막~ 두드리죠. 사실 혈관은 자극을 받았을 때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혈관이 커지는 것이다. 히스타민 분비하며 싸울준비하고, 점점 Vasodilation 되면서 vein이 잘 보이게되는 기전이다.
narrow angle glaucoma : 녹내장
diphenhydramine 은 anticholinergic effect 있어 안압올려 녹내장 가능성.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친구한테 옮았어여~ 폐럼 ㅎ
hospital- acquired pneumonia : VAP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 vent로 인해 pneumonia 발생,, ICU에서는 VAP prevention이 아주 중요하다.
how to prevent VAP? semi-fowler position, oral care, suction, secretion 양상 관찰 및 document,,,,,
alcohol 먹으면 CNS depressants 증상이 심해진다.
항 콜린 약물들은 dry mouth 유발하기 때문에 candy or ice chips 적용한다.
nasal decongestants 코막힐때 사용하는거~~
코막힌다는 것은 이것 또한 무스비.. 아니, 염증반응 이라는 것이지요~
염증반응을 잡아주는 glucocorticoid 스테로이드 제제, 혈관을 직접 수축시켜주는 phenylephrine, pseudoephedrine 있다.
phenylephrine, pseudoephedrine 은 강력한 혈관수축제로 심혈관질환자에게는 사용추천 ㄴㄴ
blood glucose level check는 스테로이드 제제 사용때문 !
→ 부신피질에서 나오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중 하나이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라고도 한다. 주로 부신피질의 제2층에서 생성된다. 탄수화물을 간에서 글리코겐으로 저장하고, 단백질과 지질에서 당질을 만드는 작용을 돕는다.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염증성 코르티코이드에 포함된다. 단리 ·합성하여 코티손 ·프레드니솔론 등이 의약용으로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당질코르티코이드 [glucocorticoid, 糖質─]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acetylcystein = 상품명 : mucomist, muteran
expectorants 기관지 분비물들을 묽게하여 환자들이 뱉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 → guaifenesin, acetylcysteine 이 있다.acerylcystein 은 broncho spasm ( 기관지 경련 ) 을 일으켜 inhalor 시 절대로 원액으로 주지말고 saline 1:1 mix 하여 준다.
athma 환자의 경우 acetylcystein inhalor 시 hyper-responsiveness ( 과다반응 ) 으로 인해 broncho spasm이 오는 경우가 더 심하다.
broncho spasm 생긴경우? bronchodilator( 기관지 확장제 Ex) albuterol, atrovent )로 작용을 reverse 시키면 된다.
antitussives 기침억제약. 이것은 brain stem 에서 호흡을 조절하는데 이것을 억제하는 방범밖에 없다.
보통 진해제로 codein 많이 사용하는데 codein 자체가 마약성 약으로 dizziness, drowsy 증상들을 잘 살펴야 한다.
특히나 환자 무조건 기침한다고 codein 같은 진해제, 기침억제제 주지 않아야 하며 가래없는 dry cough 인 경우에만 적용하도록 한다. 왜냐? 가래있는 기침의 경우 가래를 제거하는 것이 우선순위이기 때문이다. 환자가 기침을 못하게 brain stem을 막아버리면? 가래는 ??? 제거하지 못하고 mucos plag가 되어 air way cleaning 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기침하는것은 airway에 이물질을 제거하기위해 기침하는것이지. 이런경우 기침억제제나 진해제 주면 안되고 환자가 기침하여 가래를 뱉어낼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유없는 기침,, Ex)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기침, 기침으로 인해 통증발생 시에만 codein을 사용하여 증상조절하도록 한다.
codein 주의할점으로 sedation 사용시 상승작용 발생가능, 마약성이므로 의존성, 중독 문제 등이 있다.
이렇게 med 사용함에도 1주일 이상 증상 지속 시 PHCP ( 주치의 ) 에게 Noti 하며 opioid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Opioid antagonists : naloxone ~~~
미 쿡 에서는 중독자들 하도 많아서 PRN 처방도하고 지하철에서 Naloxone 먹으라고 광고도 쥰나게 한다고 합니다.
우리 Tb 쿤은 waxy substance on the Capsule that makes prevention and destruction difficult, so we use multidrug !!!
6 to 9 month 먹어야 완치가능하고 전염력은 2 to 3 weeks 이다. medication 3months 정도면 Tb검사에서 negative 받을 수 있따. Tb 걸린 사람이 공공장소 활보 가능하려면 Tb negative 3번 땅땅땅 해야된다. ~~~
모든 Tb medication 은 hepatotoxic 있기에 avoid alcohol
optic neuritis : 시신경염
ototoxicity : 귀 독성
리팜핀 모든 체액을 빨강색으로 ~~ 오랜지 색으로 ~~ 그렇다면.. 누눔ㄹ, 침, 땀,, 더운 여름.. 온몸에서 피가난다 으아아~~
pyrazinamide 복용하는 DM 환자는 당조절 잘 안되므로 Evaluate blood glucose level
1. 항히스타민제는 GI immitation 이라는 부작용 있기 때문에 공복 복용 ㄴㄴ
2. antihistamine,,BBB 지나갈 수 있어 CNS depress 증상 있으니 더 악화 가능
3. 졸릴 수 있어 운전, 중장비 ㄴㄴ
4. 항콜린 효과 → 온몸의 Secretion 을 말려 saliva ( 침) 분비 억제로 dry mouth intervention candy, ice c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