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tel's firstaid

체액/전해질 불균형

꿀오소리 2022. 8. 11. 11:52
728x90
반응형

 hypervolemia : 세포외 공간에 정상 이상의 수분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 대부분 신자의 기능 부족으로 수분의 많은 양이 배출되지 않는 것이 원인. 수부이 과다 보유되면 염분도 또한 과다보유된다. 나트륨의 과다보유는 세포외액의 삼투압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체액은 등장성을 마주기 위해 세포로부터 유출된다.

 세포외 공간과 세포내 공간이 서로 등장성을 이루기 위해 세포의 수분이 거의 고갈되는 동안 세포외액내에는 수분과 나트륨 모두 과다하게 된다. 과다한 세포외액은 조직 공간에 축적된다. 이를 부종 edema이라 한다. 부종은 눈 주위와 손가락, 발목, 천골부위에 자주 나타난다.

 

체액 불균형 구분 관련원인 증상과 징후
등장성 불균형 체액부족 - 등장성 비율로 손실된 체액과 전해질 - 위장관계 손실 : 설사, 구토, 또는 누관이나 관에서 나온 배액
- 혈장 또는 혈액 손실 : 화상, 출혈
- 과도한 발한
- 고열
- 수분의 구강섭취 감소
- 이뇨제의 사용
- 혼돈 또는 우울
- 신체검진 : 체위성 저혈압, 빈맥, 건조한 점막, 피부탄력성 손실, 갈증, 혼돈, 빠른 체중손실, 정맥순환장애, 기면, 핍뇨 ( 30ml/hr 이하의 소변량), 약한 맥박
- 검사결과 : 1,030 이상의 요비중 증가, 50% 이상의 헤마토크릿 수치 증가, 25 mg/100mL 이상의 BUN 수치증가 ( 혈액농축)
체액과다 - 등장성 비율로 정체된 체액과 나트륨 - 심부전
- 신부전
- 간경화증
- 혈청알도스테론과 스테로이드 수치 증가
- 과다한 나트륨섭취 또는 주입
- 신체검진 : 급격한 체중증가, 부종, 고혈압, 다뇨증, 목정맥의 팽창, 정맥압 상승, 폐에서 '딱딱' 하는 소리 발생, 혼돈
- 검사결과 : 38% 미만으로 헤마토크릿 수치 감소, 10mg/100ml 미만으로 BUN수치 감소 ( 혈액 희석 )
삼투압 불균형 고삼투압 불균형 - 탈수 - 요붕증
- 갈증기전 손상
- 당뇨성 케톤산증
- 삼투압성 이뇨증
- 고장성 비경구 용액 투여 또는 경관영양액
- 신체검진 : 건조하고 끈적한 점막, 홍조 띤 건조한 피부, 갈증, 체온상승, 과민성, 경련, 혼수
- 검사결과 : 145mEq/L 이상의 혈청 나트륨 증가, 295mOsm/kg 이상의 혈청 삼투압 농도 증가
저삼투압 불균형 - 수분과잉 - 부적절한 항이뇨호르몬증후군 ( SIADH )
- 과잉 수분섭취
- 신체검진 : 의식수준 저하, 경련, 혼수
- 검사결과 : 135 mEql/L 미만의 혈청나트륨 저하, 280 mOsm/Kg 미만의 혈청삼투압 농도 저하

 

전해질 불균형

 

1) 나트륨 불균형

hyponatremia는 나트륨 손실이나 수분 과잉으로 발생

과다한 수분섭취, 정맥 내 용액의 과다주입, 신부전으로 수분축적이 일어나거나 장기간의 과다한 발한, 강한 이뇨제의 사용, 위장관 분비물의 소실 등으로 나트륨이 소실되어 일어난다. 어떤 원인이든 모두 세포 내 수분과다를 일으킨다.

나트륨 부족이 발생하면 세포외액의 삼투압이 감소하여 물이 세포내로 이동한다. 혈장량이 감소하면 저혈량 증상이 나타난다. 수분이 과잉되면 세포내액과 세포외액 모두 증가하여 hypervolemia 증상이 나타난다.

 

hypernatremia는 과도한 수분소실이나 나트륨 과다로 인하여 세포외액의 나트륨농도가 정상보다 높을 때를 말한다.

요붕증, 다량의 설사, 수분섭취의 감소로 수분이 아주 부족하거나 고장성 식염수의 비경구적 투여, 과다한 염분의 섭취는 고나트륨혈증을 일으킨다.

 알도스테론 분비 증가로 고나트륨혈증이 일어나면, 나트륨은 잔류하고 칼륨이 배출된다. 고나트륨 혈증이 발생하면 인체는 신장의 재흡수를 거쳐 가능한 한 많은 수분을 보유한다.

나트륨의 정상범위는 135~145 mEq/L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