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CLEX

Thyroid

by 꿀오소리 2022. 11. 24.
728x90
반응형

Hypothyroid

cold intolerance : 추위민감증

slureed speech : 불분명 발음

hoarseness : 목이 쉼, 귀에 거슬림

anorexia : 신경성 식욕부진증

→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대표적인 섭식장애의 하나로, 살을 빼려는 지속적인 행동, 체중 감소, 음식과 체중과 연관된 부적절한 집착, 음식을 다루는 기이한 행동, 살이 찌는 것에 대한 강한 두려움 그리고 무월경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질환

 

muscle ache : 근육통

brittle 잘 부러지는, 불안정한(기분,정서)

myxedema : 점액수종

 

levothyroxine : 레보티록신은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사용되는 합성 갑상선호르몬

opioid : 오피오이드 ((아편 비슷한 작용을 하는 합성 진통·마취제))

 

Hyperthyroid

heat intolerance : 열과민증

exophthalmos : 안구돌출

protruding eye : 퉁방울눈

insomnia : 불면증

amenorrhea : 무월경, 월경불순

propylthiouracil ( PTU ) : 프로필싸이오유라실 갑상샘 호르몬의 생산양을 줄여 갑상샘 항진증을 치료하는데 쓰는 싸이오아마이드 약품.

감염증상 Assess평가 우선 → sorethroat, fever

stimulant : 흥분제,, like coffee, black tea홍차

obtain weight daily 매일 체중 늘어남

 

Mysxedema coma 점액수종성 혼수

levothyroxine 레보티록신 : 레보티록신은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사용되는 합성 갑상선호르몬

 

* 중증의 갑상샘 기능저하증의 환자에게서는 전신, 특히 뇌세포의 대사기능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혼수상태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병태를 점액수종성 혼수라고 한다.

 

고령의 여성에게 압도적으로 많고 겨울에 발병하기 쉬우며 사망률도 높은 질환이다.

증상으로는 일반적인 갑상샘 기능저하증에 의한 증상(느린맥, 변비, 피부건조, 저혈압 등) 외에, 특징적인 것으로 저체온이 있다. 다음과 같이 기억하자.

혼수 + 저체온 = 점액수종성 혼수

 

신속하게 치료를 시작하지 않으면 손을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버리므로, 이상과 같은 임상소견이 나타났을 때에는 검사용 채혈을 한 후, 곧바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는 triiodothyronine(T3)의 경구투여인데, 갑자기 대량을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5~10μg/day 정도의 소량을 투여하기 시작하여 50μg/day 정도까지 조금씩 늘려간다. 유지량에 도달한 후에는 T4(thyroxine)로 바꾼다. 또한 갑상샘호르몬을 투여하면 급속히 대사기능이 항진되어 급성 부신겉질부전(adrenocortical insufficiency)(부신겉질부전)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hydrocortisone을 동시에 정맥 주사

 

다음으로 호흡관리에 대한 사항으로, 점액수종성 혼수에서는 갑상샘 기능저하에 의해 호흡수의 저하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허파꽈리저환기(hypoventilation) → 저산소혈증(hypoxemia) & 고탄산(CO2)혈증(hypercapnia)이 되고, 특히 고탄산혈증이 심해지면 CO2 혼수(이것이 혼수를 일으키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되기도 한다)의 병태로까지 발전한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기관내 삽관에 의한 인공호흡(인공호흡기의 장착)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PaCO2의 정상화를 목적으로 실시하지만, 급속히 PaCO2를 정상치(= 40mmHg)까지 되돌려서는 안 된다.

그 이유는 점액수종성 혼수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CO2 혼수에 빠진 사람의 PaCO2를 급속하게 정상화시키면 대사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콩팥에서 HCO3-를 배설하는 쪽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적어도 24~28시간), 급속히 PaCO2만을 정상으로 되돌리면 혈중 HCO3- 농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오히려 알카리증으로 기울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알카리증은 이차적으로 저칼륨혈증(hypokalemia)을 일으키거나, 혈중의 유리칼슘 농도를 낮추기 때문에 테타니(tetany)를 일으킨다. 이들은 전신관리적인 면에서 치료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경우에는 혈액의 pH를 체크하면서 천천히 PaCO2를 낮출 필요가 있다.

그밖에 저체온에 대해서는 모포 등으로 보온해 주어야 한다(단, 적극적으로 온도를 높여주는 것은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또한 저혈당이나 저나트륨혈증 등에 대해서는 포도당이나 고장식염수의 점적정맥주사를 실시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수분의 과잉투여가 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점액수종성 혼수 [Myxedema coma]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9 : 내분비, 2013. 5. 10.)

Thyroid storm (= thyroid crisis ) 갑상샘중독발작

systolic : 심장 수축의

agitation : 불안, 동요

delirium : 섬망

nonsalicylate antipyretics (타이레놀 복용); aspirin은 free thyroid H.을 증가시키므로 금기

 

갑상샘중독발작(thyroid crisis)은 Graves병의 경과 중에 어떤 원인으로 갑자기 그 증상이 악화되는 것으로 치사율이 높은 질환이다. 갑상샘중독발작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한 마디로 표현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간단히 말하자면 “종합적으로 갑상샘 기능이 항진한 상태”로서, “갑상샘호르몬 작용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상태”를 말하기 때문에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혈중의 갑상샘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경우로 (이것은 실제로 갑상샘에서 호르몬 합성이 항진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합성이 항진되지 않아도 여포가 파괴되는 등의 원인으로 저장된 갑상샘호르몬이 혈중으로 유출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과 같은 증례가 있다.

① 치료받지 않은 Graves병 환자
② 치료를 중단한 Graves병 환자
③ 갑상샘 부분절제술 후나 방사성 요오드요법 후, 또는 거칠게 갑상샘을 촉진한 경우 갑상샘에서 호르몬이 유출
④ 외과수술시나 스트레스를 받은 후와 같이 TBP의 감소에 속발하는 유리형 호르몬의 증가
⑤ 간질환이 진행되어 갑상샘호르몬의 대사가 감소된 경우

두 번째는 말초조직에서 갑상샘호르몬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이것은 교감신경의 긴장 항진과 혈중 카테콜아민 농도의 증가 등이 원인이다.)가 나타나는 경우로 다음과 같은 증례가 있다.

① 감염증이나 외상 등에 의해 혈중 카테콜아민이 증가된 경우(넓은 의미에서 스트레스이므로 동시에 갑상샘호르몬이 상승한다.)
② 당뇨병성 케토산증(ketoacidosis)이나 임신고혈압증후군에 동반된 Graves병

 

이러한 몇 가지 복잡한(어떤 의미로는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기전에 의해 갑상샘중독발작(thyroid crisis)이 일어난다. 실제로는 치료를 중단한 환자가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감염증에 이환된 경우에 발생하거나 수술과 임신 중일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 지식백과] 갑상샘중독발작 [Thyroid crisis, thyroid storm]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9 : 내분비, 2013. 5. 10.)

 

Thyroidectomy

dysphagia : 연하곤란

laryngeal nerve : 후두신경

restlessness : 차분하지 못함, 쉼 없는

high-pitched voice : 높은 음조의 목소리

stridor : 천명 기관에 담이 걸렸을 때 나는 '휴, 휴' 하는 호흡음

숨을 쉴 때 좁아진 기관지를 따라 공기가 통과할 때 들리는 특징적인 호흡음. [정의] 천명은 이상 폐 청진음 중 하나로, 숨을 쉴 때 좁아진 기관지를 따라 공기가 통과할 때 들리는 특징적인 호흡음을 뜻한다.

 

 

728x90
반응형

'NCL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e - Eclampsia  (0) 2022.12.15
공부계획  (0) 2022.12.12
전해질 불균형  (0) 2022.11.04
FCT  (0) 2022.10.23
Diet, Fluids, I/O  (0) 2022.10.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