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D aggravation : Herniatedlumbardisc 추간판 탈출증 악화,,
focal stenosis : brain mri,, 중대뇌동맥 협착증
atelectasis : 무기폐 폐포 내 공기의 양이 적거나 매우 결핍된 폐의 이상상태
무기폐는 질환이라기보다는 다양한 병(폐렴, 기관지염과 같이 분비물이 많이 생성되는 모든 폐 질환, 혹은 기관지 내에 생긴 결핵이나 폐암과 같이 물리적으로 기관지가 막혀 하부의 폐조직이 허탈되는 질환 등)이나 수술 후 통증, 혹은 장기간의 침상 안정에 의해 깊은 숨을 쉬지 못하여 호흡기 분비물에 의해 기관지가 폐쇄되어 하부의 폐조직이 허탈되는 경우 등 여러 상황에서 발생하는 상태
따라서 무기폐에 대한 진단, 치료 등은 원인 질환에 따라 아주 상이하다. 이를테면 수술 후 호흡을 깊게 하지 못해 생긴 무기폐라면 통증조절을 하고 심호흡, 기침을 하여 분비물을 잘 뱉도록 하는 것이 치료일 것이다. 만약 기관지에 생긴 폐암이나 기관지결핵과 같은 병으로 기도가 막힌 경우라면 해당 질환에 대한 전신적인 치료가 곧 무기폐의 치료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기폐 [atelecta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myoclonus : 근육간대경련
근육간대경련은 돌발적이며 짧고 전기충격과 같은 형태의 순간적인 근육의 수축 또는 근긴장도가 저하되는 현상
독성-대사성 및 약물 유발 근육간대경련도 비교적 흔하지만 대부분 일시적이다.
근육간대경련은 원인과 종류에 따라 다른 증상을 보이게 된다.
- 생리적근육간대경련(physiologic myoclonus)은 정상인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 수면에 빠져들 무렵에 발생하는 수면 움찔(hypnic jerk)이나 횡경막과 호흡근에 근육간대경련이 발생하는 딸꾹질이 대표적인 예이다.
- 본태근육간대경련(essential myoclonus)은 다른 증상 없이 근육간대경련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거나 일부에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된다. 근육간대경련 이외에 다른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부분 양성의 경과를 보이며 저절로 증상이 좋아진다.
- 간질근육간대경련(epileptic myoclonus)은 간질 환자에서 나타나며 예상되는 증상의 경과가 좋지 않다. 뇌파에서 간질파가 나타나지만 근육간대경련은 신체의 한 부분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전신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 증상근육간대경련(symptomatic myoclonus)은 다른 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근육간대경련이 나타나는 것으로 원인 질환에 따라 근육간대경련이 아닌 다른 임상 증상이 우세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대부분 대뇌피질의 병적인 변화에 의해서 발생하며 서서히 진행하면서 증상이 악화되는 경과를 보인다. 하지만 약물에 의해 유발된 근육간대경련은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사라진다. 심장정지 등의 저산소성뇌병증 이후에 심한 활동성근육간대경련이 나타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근육간대경련 [myoclonu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thrombocytopenia : 혈소판 감소증
정상적으로 혈액 내에는 1㎕(microliter)당 130,000~400,000개의 혈소판이 존재하며, 이보다 혈소판 수치가 감소한 경우를 혈소판 감소증
골수에서 혈소판의 형성이 감소하거나, 비장 같은 특정 기관에 혈소판이 포획되거나, 또는 혈소판의 파괴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원인 질환은 매우 다양하며, 사용하는 약물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고 세균성 혹은 바이러스성 감염, 간경화, 항암제로 인한 골수 억제,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급성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등에 의해 발생
20,000/㎕ 이하로 감소하면 외상이 없이도 주요 장기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 및 치료가 필요
athma exacerbation : 악화,,,
coryza : 기온의 급격한 변화나 유독가스 등 물리 화학적 자극, 비타민A 결핍 등 영양 장애 혹은 미생물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비카타르성 비염의 증상
BPS : bilateralsalpingooophorectomy 양측 부분 난소 절제술
BFS : bronchofiberscopy 기관지 내시경
댓글